현재 기준금리는 0.5%입니다. 1금융권인 시중은행에 정기예금을 가입해도 1.0% 정도의 이자를 받는 것도 어렵습니다. 여러 가지 우대 조건을 충족해야만 겨우 1.0%를 넘는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시중은행의 수시입출금식 예금은 이자가 0.1%입니다. 이자가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이러한 저금리 시대에 사람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통장이 바로 '파킹통장'입니다.
[목차] 1. 파킹통장이란? 2. 파킹통장 금리는? 3. 금리 2.0% 파킹통장에 5,000만원을 예금하면? 4. 저축은행의 예금금리는 현 수준을 유지할 수 있을까? 5. 대표 파킹통장 명칭과 금리는? |
1. 파킹통장이란? |
'파킹통장'은 상품명이 아닙니다.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자동차의 운행을 잠시 멈추고 주차장에 차를 세워놓는 것처럼 당장 사용할 필요가 없는 쌈짓돈을 은행에 예금해 둔다고 보시면 됩니다.
대부분 저축은행이 상품으로 선보이는 보통예금, 정기예금, 기업자유예금 같은 상품을 '파킹통장'이라고 부릅니다. 즉, 저축은행의 수시입출금식 예금을 '파킹통장'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또한, 상품명에 '파킹통장'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일부 저축은행이 있긴 하지만 대부분의 통장에는 파킹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2. 파킹통장 금리는? |
저축은행은 1금융권에 비하면 현금보유율이 낮고, 그렇다 보니 대출 여력이 부족합니다. 높은 금리를 주고서라도 많은 수신을 확보해야 많은 대출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금리를 주고서라도 목돈을 유치할 수 있는 예금상품을 선보이는 것입니다.
금리는 저축은행별로 차이가 있고, 조건도 다르지만 적게는 1.5%에서 많게는 2.0%까지 금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작년만 해도 3.0%의 이자를 지급하는 '파킹통장'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저금리 상황에서 저축은행의 수신액이 지속적으로 늘어 최근 80조가 넘었다는 기사가 있었습니다. 이렇게 저축은행에 많은 돈이 모이는 상황에서 이자지급에 대한 부담으로 대부분의 저축은행들은 금리를 인하하여 현재 3.0% 수준의 이자를 지급하는 저축은행 '파킹통장'은 찾지 못했습니다.
3. 금리 2.0% 파킹통장에 5,000만원을 예금하면? |
만약 금리가 연 2.0%인 '파킹통장'에 예금자보호 한도금액인 5,000만 원을 예금하면 연 100만 원의 이자가 발생합니다. 이 중 이자소득세 15.4%인 15만 4,000원을 제외한 846,000원을 세후 이자로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금액을 일단위로 계산하면 하루에 약 2,318원의 이자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4. 저축은행의 예금금리는 현 수준을 유지할 수 있을까? |
최근 저축은행의 '파킹통장'에 수신금액이 많이 높아지자 저축은행들은 금리를 내리고 있습니다. 페퍼저축은행은 1.7%에서 1.6%로, OK저축은행은 2.0%에서 1.3%로 대폭 금리를 내렸습니다.
대부분의 저축은행은 지출해야 하는 높은 이자를 감수하면서 지속적으로 수신금액을 올리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저축은행 '파킹통장'의 금리는 올라가기 쉽지 않아 보입니다.
5. 대표 파킹통장 명칭과 금리는? |
저축은행의 '파킹통장' 금리는 빠른 속도로 내려가고 있습니다. 아래 웰컴저축은행은 최대 2.0%의 금리를 제공하지만 작년에는 3.0% 가까운 금리를 제공했던 상품입니다. 이 2.0%의 금리도 기본금리 1.7%에 급여이체 실적이 있어야 0.3%의 추가 금리를 제공받아 2.0%가 되는 것입니다. OK 저축은행도 2.0% → 1.7% → 1.5% 등 지속적으로 금리가 내려가고 있습니다.
은행명 | 상품명 | 금리 | 조건 |
웰컴저축은행 | 웰컴직장인 사랑 보통예금 | 최대 2.0% | 급여이체 실적 등 |
핀크 | T이득통장 | 최대 2.0% | SKT 이용자, 300만원 한도 |
에큐온저축은행 | 에큐온모바일자유예금 | 최대 1.7% | |
OK저축은행 | OK대박통장 | 최대 1.5% | |
상상인저축은행 | 뱅뱅뱅보통예금 | 최대 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