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노트]

증자 : 유상증자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

by 몽트 2021. 6. 14.

 

주식 증자의 방식에는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등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유상증자는 돈을 받고 주식을 발행하는 것이고, 무상증자는 무상으로 주식을 나누어 주는 것을 말합니다. 이중 유상증자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목차]

1. 유상증자의 목적
2. 유상증자 방식
3. 유상증자의 장단점
4. 마치며...

▷▷ 증자(1) : 유상증자 vs 무상증자 ◁◁

▷▷ 증자(2) : 유상증자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 ◁◁

▷▷ 증자(3) : 무상증자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 ◁◁

 

   1. 유상증자의 목적
투자자금 필요 운영자금 부족
 1. 신규사업 확장

 2. 기존사업 투자확대(설비증설 등)

 3. 타기업 인수 등
 1. 운영자금 부족

 2. 부채상환 등


 

유상증자는 기업이 자본을 추가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실시하는 과정입니다. 여기서 자본을 추가적으로 확보하는 이유가 중요합니다. 기업이 유상증자를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그 목적을 명시해야 하기 때문에 증자 전 투자자들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증자 목적은 투자자금 등 돈이 필요해서 실시하는 경우와 운영자금 등 돈이 부족해서 하는 경우 등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첫째, 투자자금이 필요해서 하는 경우는 유상증자를 실시하는 경우 중 긍정적인 경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새로운 분야에 사업을 확장한다던가, 기존 사업에 투자를 확대하고, 설비를 증설하는 경우 그리고 타 기업 인수를 위해 자본이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반면, 운영자금이 부족해서 하는 경우는 유상증자를 실시하는 경우 중 부정적으로 판단됩니다. 직원 급여를 못주는 상황 등 운영자금이 부족한 경우 또는 부채를 상환해야 하는 경우 등 정말로 돈이 없어서 자금을 조달하는 경우이기 때문입니다.

 

 

   2. 유상증자 방식
3자배정 유상증자 주주배정 유상증자 일반공모 유상증자

 기존 주주가 아닌 특정인이나 특정기업 등 제3자를 대상으로 신주인수권을 부여


 기존 주주를 대상으로 균등하게 신주인수권을 부여하여 주식 발행



 기존 주주의 신주인수권을 배제하고, 불특정 다수에 신주를 공개적으로 모집


 

주식을 추가로 발행해 자본금을 늘리는 방법 중 유상증자는 새로 발행한 주식을 기존 주주 또는 제3자에게 유상으로 판매하는 것을 말하며, 그 방식에는 제3자배정방식, 주주배정방식, 일반공모방식 등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①제3자배정 유상증자 : 기존 주주가 아닌 특정 3자를 신주의 인수자로 배정해 놓고 실시하는 유상증자 방식입니다. 이는 신주 인수자가 불특정 다수가 아닌 특정인이 지정되어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②주주배정 유상증자 : 기업이 새로 주식을 발행할 때 신주인수권을 기존 주주들에게 배정하는 방식입니다. 만약, 새로 발행할 주식을 모두 기존 주주들이 매입한다면 주주배정 유상증자가 바로 마무리되지만,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실시한 후에도 신규 발행 주식이 남은 경우 이는 일반인 공모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③일반공모 유상증자 : 기존 주주에 대한 신주인수권을 배제하고 불특정 다수에게 신주를 공개 모집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단, 이렇게 하려면 회사의 정관에 기존 주주에 대한 신주인수권을 배제할 수 있다는 규정이 있어야 합니다.

 

 

   3. 유상증자의 장단점
유상증자 장점 유상증자 단점
 1. 재무건정성 개선

 2. 상환 비용 없이 자금 조달 가능
 1. 주주가치 희석


 

유상증자를 실시한 경우의 장점으로는 상환비용 없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는 점과 자금조달을 통해 재무건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모두 주주가 아닌 증자를 실시하는 기업의 입장입니다.

상환비용 없이 자금조달 : 대출이나 채권발행을 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이자나 원금 상환에 대한 부담 없이 자금을 조달할 수 있습니다.

재무건정선 개선 : 추가로 발행한 주식 수만큼 자본금이 늘어나므로 기업의 재무건정성 개선 효과가 있습니다. 이는 부채비율이 낮아지면서 기업의 안정성과 가치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주식수가 늘어남에 따라 기존 주주 가치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는 것입니다. 기업이 유상증자를 실시하게 되면 주식수가 늘어나게 됩니다. 만약 현재 주식의 총 수가 10만 주인 A회사가 10만 주를 추가로 유상 증자하는 경우 A회사의 총 주식 수는 20만 주로 늘어가게 됩니다.

주식의 수가 두배로 늘어난 만큼 1만주를 가지고 있던 주주의 지분율은 10%에서 5%로 줄어들게 되고, 주당순이익 또한 낮아저 주식 가치가 하락하는 현상이 발생되기도 합니다.

 

 

   마치며...

유상증자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가증 큰 리스크라고 하면 유상증자가 실패할 경우입니다. 3자배정 유상증자의 경우 기업과 기업 간 증자하는 주식 수만큼 인수를 확약한 경우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실패할 가능성이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주주배정 유상증자나 일반공모 유상증자의 경우 기존 주주나 새로이 주주가 되고자 공모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람이 적어 예상 규모만큼 증자를 하지 못한 결우 자금을 충분히 조달하지 못하여 자금 운용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유상증자의 경우 그 목적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 글을 읽으신 분들께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

다른 사람들이 많이 본 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