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ETF 중에는 배당 관련 상품도 많이 있습니다. 그중 배당수익률이 6% 이상이면서 운용자산 규모가 큰 상위 5개 ETF 상품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1. 자산규모 상위 5개 |

이 중 배당수익률 1등은 10.15%를 기록하고 있는 "Global X SuperDividend ETF"로 티커명은 "SDIV"입니다. 운용사는 우리에게 익숙한 "Mirae Asset Global"입니다.
배당수익률 2등은 8.68%를 기록하고 있는 "iShares Emerging Markets Dividend ETF"로 티커명은 "DVYE"이고, 운용사는 "Blackrock"입니다.
배당수익률 3등은 8.43%를 기록하고 있는 "Global X MLP & Energy Infrastructure ETF"로 티커명은 "MLPX"이고, 운용사는 "Blackrock"입니다.
배당수익률 4등은 6.49%를 기록하고 있는 "VanEck BDC Income ETF"로 티커명은 "BIZD"이고, 운용사는 "VanEck"입니다.
배당수익률 5등은 6.01%를 기록하고 있는 "First Trust Dow Jones Global Select Dividend Index Fund"로 티커명은 "FGD"이고, 운용사는 "First Trust"입니다.
티커 | SDIV | DVYE | MLPX | BIZD | FGD |
상품명 | Global X SuperDividend ETF | iShares Emerging Markets Dividend ETF | Global X MLP & Energy Infrastructure ETF | VanEck BDC Income ETF | First Trust Dow Jones Global Select Dividend Index Fund |
배당수익률 | 10.15% | 8.67% | 8.43% | 6.49% | 6.01% |
현재가 2022.1.21 기준 |
$12.40 | $39.06 | $38.05 | $17.39 | $26.01 |
편입종목 수 | 102개 | 93개 | 25개 | 25개 | 97개 |
2. 코로나 전/후 주가 비교 |
배당수익률만 보면 미래에셋 글로벌이 운용하는 "SDIV"가 다른 상품 대비 꽤나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거 주가 변화 추이를 같이 보면 왜 배당수익률이 높은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티커 | 2020년 1월 13일 종가 | 2022년 1월 21일 종가 | 상승률 |
SDIV | $18.05 | $12.40 | -31.30% |
DVYE | $41.99 | $39.06 | -6.98% |
MLPX | $37.53 | $38.05 | 1.39% |
BIZD | $17.04 | $17.39 | 2.05% |
FGD | $25.10 | $26.01 | 3.63% |
SDIV는 코로나가 발생하기 직전인 2020년 1월 13일 기준 종가 18.05달러에서 현재 -31.30%의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주가가 많이 떨어지다 보니 배당수익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MLPX, BIZD, FGD는 코로나 이전 주가를 회복하여 소폭의 수익이 발생하고 있으나, SDIV와 DVYE는 코로나 이전 주가를 아직 회복하고 있지 못하고 있습니다.
3. 편입종목 투자국가 비중 |
SDIV | DVYE | MLPX | BIZD | FGD | |
United States | 29.86% | 77.48% | 100% | 15.53% | |
Hong Kong | 27.65% | 21.68% | |||
Canada | 22.52% | 14.71% | |||
South Korea | 12.19% | ||||
Russian | 17.92% | ||||
United Kingdom | 6.79% | ||||
Taiwan | 13.15% |
각 상품의 국가별 투자비중을 보면 DVYE를 제외한 4개 상품은 공통적으로 미국 시장에 가장 많이 편입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중 BIZD는 미국 비중이 100%이고, MLPX는 미국과 캐나다 시장을 각각 77.48%와 22.5% 편입하고 있습니다.
그중 FGD(First Trust Dow Jones Global Select Dividend Index Fund)는 전체 97개 보유 상품 중 한국 비중이 약 13%로 3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요. 편입 종목으로는 삼성그룹, KT&G, 하나금융그룹 등이 비율 상위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4. 기간별 수익률 비교 |
![]() |
코로나 발생 전과 현재 주가를 비교하면 FGD, MLPX, BIZD 만 + 수익률을 보이고 있으며, DVYE, SDIV는 코로나 이전 주가를 회복하기에 많이 부족해 보입니다.
![]() |
최근 5년 수익률을 비교하면 DVYE와 FGD가 8% 전후의 수익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SDIV, BIZD, MLPX는 각각 -41.87%, -5.13%, -14.99%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 |
Mirae Asset Global에서 운용하는 "SDIV(Global X SuperDividend ETF)"는 주가가 10년 전에 비해 -43.20%, 5년 전에 비해 -41.87% 떨어져 있으며, 2년 전에 비해서도 -29.75% 떨어져 있습니다. 심지어 1년 전에 비해서도 -6.56% 떨어져 있는데요.
SDIV의 상장일은 2011년 6월 8일이고, 이후 중간중간 반등한 기간이 있기는 하지만 상장 이후 지속적으로 주가가 하락했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주가가 많이 떨어져 있고 그로 인해 배당수익률이 높게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저가 매수의 기회로 포트폴리오에 적당히 편입해 보는 것은 어떨지 생각해 봅니다.
♡ 이 글을 읽으신 분들께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