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두 번의 포스팅을 통해 주가연계증권 상품의 기본개념과 스텝다운형 상품 가입 시 체크사항에 대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오늘은 이어서 리자드형 상품 가입 시 체크사항에 대하여 정리해 보겠습니다.
▶▶ [(2021. 4. 26.) 주가연계증권 ELS(1) : 기본개념 ] ◀◀
▶▶ [(2021. 5. 03.) 주가연계증권 ELS(2) : 스텝다운형 상품 설명 ] ◀◀
▶▶ [(2021. 5. 10.) 주가연계증권 ELS(3) : 리자드형 상품 설명 ] ◀◀
[목차] 1. 리자드형 ELS란? 2. 리자드 ELS 상품 확인하기 3. 리자드 조건 확인하기 |
1. 리자드형 ELS란? |
리자드는 영어단어로 Lizard, 도마뱀을 말합니다. 도마뱀은 누군가 꼬리를 잡거나 해서 위기에 처하면 스스로 자기 꼬리를 자르고 도망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처럼 리자드형 ELS는 지수가 하락하여 조기상환조건에 충족하지 못할 경우 상환을 해줄 수 있는 조건을 추가로 제공해줌으로써 빨리 상환받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 상품을 말합니다.
2. 리자드 ELS 상품 확인하기 |
삼성증권에서 리자드 조건으로 판매되었던 ELS 상품 화면입니다. 기초자산이 NIKKEI225, S&P500, EUROSTOXX50 등 3개 지수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상품 유형에서 멀티리자드로 표시되어 있어 본 상품이 리자드형 ELS 임을 알 수 있습니다.
① 상품유형에 "멀티리자드"라고 되어 있습니다. 멀티리자드는 추가 상환조건을 2회 이상 제공한다는 의미로 대부분 1차 상환조건과 2차 상환조건에 추가로 상환조건을 제공합니다.
② 특정조건 충족 시 1차 리자드 상환 시 1배, 2차 리자드 상환 시 1.5개의 수익률을 제공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리자드 상품은 정해진 수익률보다 더 많은 수익률을 제공합니다.
※ 리자드 조건에 따른 상품 구분 리자드 조건이 하나만 있는 상품을 "리자드형 ELS", 리자드 조건이 2개 이상 있는 상품을 "멀티리자드형 ELS" 또는 "수퍼 리자드형 ELS"라고 합니다. |
본 상품의 조기상환조건은 "90-90-85-85-75"로 제시되어 있습니다. 운용방식은 앞서 스텝다운형 ELS에서 설명드린 것과 같이 매 6개월마다 조기상환일에 기초자산 3개의 지수가 모두 자동 조기 상환 조건 이상이면 원금과 약정 수익률 4.3%를 지급한다는 내용입니다.
예를 들어, 본 상품에 1,000만 원을 투자하였고 상품운용 개시 후 6개월이 되는 시점에 기초자산 NIKKEI225, S&P500, EUROSTOXX50 지수가 모두 시작 시점 기준 대비 90%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면 원금 1,000만 원과 약정 수익률 2.15%(6개월)인 215,000원을 합해 10,215,000원(세전)을 돌려받게 됩니다.
3. 리자드 조건 확인하기 |
일반 스텝다운형 ELS와 리자드형 ELS의 차이는 만약 1차 조기상환 시점에 기초자산 3개 중 단 하나라도 상환조건 아래로 내려가 있다면 바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고, 다시 리자드 조건을 추가로 검토하여 조건이 충족하면 조기 상환된다는 것입니다.
위 리자드 조건은 1차 중간 기준가격 결정일에 하나의 기초자산이라도 종가가 행사가격(기준) 미만(=1차 상환조건 미충족)이고, "1차 중간 기준가격 결정일까지 하나의 기초자산이라도 종가가 최초 기준가격의 85% 미만인 적이 없는 경우(1차 리자드 조건)" 1차로 상환일에 상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1차 조기상환 검토일에 NIKKEI225와 S&P500은 90% 이상인 반면, EUROSTOXX50 지수가 90% 미만인 경우 1차 조기상환 조건을 충족하기 못하였으므로 리자드 조건을 추가로 검토하게 됩니다.
리자드 조건에서 1차 조기상환 조건일까지 3개의 기초자산 지수가 모두 85% 아래로 내려간 적이 없는 경우 1차 상환일에 원금과 수익률을 합쳐 조기 상환됩니다.
※ 리자드 조건 체크 시 유의사항 리자드 조건은 기초자산의 현재 지수가 리자드 조건 이상 유지해야 하는 것이 아니고, "지금까지 단 한번도 조건 아래로 내려간 적이 없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
1차 리자드 조건 검토 시에 3개의 기초자산 지수 중 하나가 기간 내 85% 미만으로 내려간 적이 있는 경우에는 상환이 되지 않고 연장이 됩니다. 이렇게 되면 2차 조기상환 검토일까지 연장되어 상품이 계속 운용되는데요.
만약 1차 리자드 조건에 충족되지 못하여 상품 운용이 연장된 경우, 2차 조기상환 검토일에 S&P500와 EUROSTOXX50은 90% 이상인 반면, NIKKEI225 지수가 90% 미만인 경우 2차 조기상환 조건을 충족하기 못하였으므로 2차 리자드 조건을 추가로 검토하게 됩니다.
2차 리자드 조건을 검토할 때 2차 조기상환 조건일까지 3개의 기초자산 지수가 모두 75% 아래로 내려간 적이 없는 경우 2차 상환일에 원금과 수익률을 합쳐 조기 상환됩니다. 이때 특징으로는 본 상품은 2차 리자드 조건 충족 시에 약상 수익률의 1.5배를 지급한다는 조항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1년 운용 후 2차 리자드 조건 충족 시 약정 이자율 4.3%의 1.5배인 6.45%의 수익률이 지급됩니다.
마치며... |
일반 ELS 상품의 경우 조기상환 조건에 못 미치면 다음 조기상환일인 6개월 후까지 더 기다려야 하는데, 리자드형 ELS의 경우 추가적인 조건이 있어 1차 또는 2차 조기상환일에 약정 수익률과 원금을 받고 조기 상환될 가능성이 높은 것은 사실입니다. 여기에 더해 리자드 조건으로 상환 시에는 추가적인 수익률을 볼 수 있다는 것도 장점입니다.
하지만 1차에 이어 2차 리자드 조건도 충족되지 않는다면, "단 한 번이라도 리자드 조건 아래로 내려간 적이 있다면!" 리자드 조건으로는 조기상환을 받을 수 없다는 점 분명히 체크해야 할 것입니다.
♡ 이 글을 읽으신 분들께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