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수연동예금 ELD는 은행에서 판매하는 상품으로 원금이 보장되며, 시중금리 이상의 수익률을 추구하는 상품입니다. 중요한 부분은 원금이 보장된다는 것입니다. 은행에 예금을 하는 것만큼 안전하면서 예금금리 이상의 수익률을 볼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지수연동예금 ELD 상품 중 안정형 상품에 해대 정리해 보겠습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지수연동예금 상품 중 가장 안정적인 투자가 가능한 반면 기대수익률은 가장 낮은 상품입니다.
▷▷ [2021. 6. 7. 지수연동예금 ELD (4) : 양방향형 상품 (유형별 수익률 비교) ◁◁
▷▷ [2021. 5. 31. 지수연동예금 ELD (3) : 성장형 상품 ◁◁
▷▷ [2021. 5. 24. 지수연동예금 ELD (2) : 안정형 상품 ◁◁
▷▷ [2021. 5. 17. 지수연동예금 ELD (1) : 원금보장 고금리 금융상품 ◁◁
1. 상품개요 |
신한은행에서 판매하고 있는 WM세이프지수연동예금 KOSPI200 안정형 21-08호, 1년 만기 상품입니다. 이 상품은 KOSPI200 지수를 기초지수로 설정하여 상품이 개시되는 기준지수 대비 만기지수가 10% 이상 상승하면 연 1.7%의 수익을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21년 5월 현재 1금융권 예금상품의 금리가 0.8~0.9% 인 것을 감안하면 두배 가까운 수익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 기준지수, 만기지수, 수익률 범위 확인 |
본 상품은 KOSPI200 지수를 기초지수로 하고 있습니다. KOSPI200 지수의 2021년 5월 20일 종가를 기준지수 설정하고, 1년이 경과한 2022년 5월 17일 종가를 만기지수로 설정합니다.
KOSPI200 지수란? (출처 : Daum 백과) 한국거래소(KRX) 유가증권시장의 전종목 가운데 시장 대표성, 유동성, 업종 대표성을 선정 기준으로 삼아, 이 가운데 시가총액이 상위군에 속하고 거래량이 많은 200종목을 선정해, 시가총액을 지수화한 것을 코스피200이라 한다. |
이 기준지수와 만기지수를 기준으로 최소 0%(원금보장)에서 최대 1.7%의 수익률을 제공하는 상품으로 수익률을 만기에 일시 지급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3. 수익구조 확인 |
본 상품은 최대 KOSPI200 지수의 만기지수가 기준지수 대비 10% 이상 상승한 경우 1.7%의 수익률을 제공한다고 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참여율이 적용됩니다. 본 상품의 참여율은 17%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10%가 상승한 경우 "10% X 17% = 1.7%"의 수익률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만약 1년 후 만기지수가 기준지수 대비 7% 상승했다면 "7% X 17% = 1.19%의 수익률을 제공합니다.
좋은 점은 만기 시에 KOSPI200 지수가 기준지수 대비 하락하였다 하더라도 원금을 보장해주는 상품으로 투자한 금액 전액 회수가 가능합니다.
4. 중도해지 수수료 확인 |
지수연동예금(ELD) 상품의 가장 큰 단점으로 생각되는 것이 바로 중도해지 수수료입니다. 원금이 보장되는 상품이긴 하지만, 만기 전 상품을 해지한다면 생각보다 큰 수수료를 물어야 합니다.
본 상품은 가입 후 3개월 이내 해지 시 1%에 가까운 해지 수수료를 물어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만기를 거의 앞둔 9개월 이상 12개월 미만인 경우에도 0.57%의 수수료를 물어야 하기 때문에 상품 가입 전 만기 전 자금의 필요 여부를 충분히 판단한 후 가입할 필요가 있습니다.
마치며... |
안정형 상품은 지수연동예금 상품 중 기대 수익률이 가장 낮은 상품으로 볼 수 있습니다. 본 상품은 지수가 하락한 경우 원금이 보장되긴 하지만 1년 동안 투자한 돈에 대해 단 1%의 수익률도 받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지수연동예금 상품 중에서도 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성장형 또는 양방향형 상품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이 글을 읽으신 분들께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