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수연동예금 상품 중 다소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상품으로 성장형 상품에 대한 내용과 수익률 계산방법 등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 [2021. 6. 7. 지수연동예금 ELD (4) : 양방향형 상품 (유형별 수익률 비교) ◁◁
▷▷ [2021. 5. 31. 지수연동예금 ELD (3) : 성장형 상품 ◁◁
▷▷ [2021. 5. 24. 지수연동예금 ELD (2) : 안정형 상품 ◁◁
▷▷ [2021. 5. 17. 지수연동예금 ELD (1) : 원금보장 고금리 금융상품 ◁◁
1. 성장형 상품개요 |
신한은행에서 판매하고 있는 WM 세이프지수연동예금 KOSPI200 상승형 21-08호, 1년 만기 상품입니다. 본 상품은 KOSPI 200 지수를 기초지수로 설정하여 상품운용이 개시되는 기준지수 대비 만기지수가 상승한 경우 최고 연 4.95%의 수익률을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본 상품은 1.0%라는 최소 수익률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운용기간 1년 중 15% 이상 지수가 초과 상승한 적이 있다면 아무리 상승폭이 크더라도 단 1%의 수익만 받을 수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2. 기준지수, 만기지수, 수익률 범위 확인 |
본 상품은 최대 4.75%의 높은 기대 수익률을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하지만 단서가 하나 붙어 있습니다. 기준지수가 장중기준 15%를 초과 상승한 적인 단 한 번이라도 있다면 수익률은 연 1.0%로 확정된다는 것입니다.
성장형 상품으로 최고 연 4.75%라는 높은 기대수익률을 제공하지만, 기대 이상의 지수 상승 시에는 고객에게 제공되는 수익률을 크게 낮춰버리는 방식으로 은행의 이익을 극대화시키는 부분이라고 생각됩니다.
본 상품의 기준지수는 '21년 5월 20일 종가이고, 만기지수는 '22년 5월 17일 종가를 기준으로 합니다.
3. 수익구조 확인 |
본 성장형 상품은 원금이 보장되면 최대 연 4.95%의 수익률을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만기지수 결정일의 상승비율에 참여율 33%를 반영하여 수익률을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단, 만기지수 결정일까지 장중 단 한 번이라도 15%를 초과 상승한 적이 있는 경우에는 만기 상승비율과 무관하게 무조건 1.0%의 수익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기준지수 대비 만기지수가 15% 상승했다면 "15% X 33% = 4.95%"의 수익이 발생합니다. 같은 방식으로 기준지수 대비 만기지수가 12% 상승했다면 "12% X 33% = 3.96%"의 수익이 발생합니다.
단, 장중기준 단 한 번이라도 15% 초과하여 상승한 적이 있다면, 상승률과 무관하게 무조건 1.0%의 수익률로 확정된다는 점 반드시 확인해야겠습니다.
역시, 가장 큰 장점은 지수가 아무리 하락해도 원금은 보장된다는 것입니다.
4. 중도해지 수수료 확인 |
역시, 지수연동예금의 가장 큰 단점은 중도해지 수수료입니다. 파생상품 매입비용 등으로 인하여 중도해지 시 꽤 큰 수수료가 발생됩니다. 중도해지 시에는 이자가 전혀 없고, 수수료만 납부해야 하기 때문에 사실상 원금손실이 발생하는 부분입니다.
마치며... |
지수연동예금의 특성상 성장형 상품도 안정형 상품과 마찬가지로 지수가 하락하여도 원금은 보장이 됩니다. 하지만, 상품설명에서 제시하는 최대 4.75% 라는 높은 기대수익률만 확인하고 가입하기에는 아쉬운 부분이 있습니다.
앞으로 지수가 상당폭 이상 상승할 것이라고 판단되고, 실제로 15% 이상 상승할 경우에는 단 1%만의 수익률만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한 가입이 필요합니다.
♡ 이 글을 읽으신 분들께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