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금융노트]67

ETF 투자 필수체크! - ETF 투자 vs 주식 투자 [ ETF에서 다루는 내용 ] 1. ETF 기본 개념 (ETF와 펀드의 차이점, 추종지수, 상품구성 방식, 상품명 구분) 2. ETF 종류 (주식, 섹터지수, 테마, 채권형, 해외지수, 부동산 등) 3. ETF 순자산가치(NAV), 괴리율, 추종지수와의 오차 4. ETF 투자 vs 주식 투자 5. ETF! 초보자에게 좋은 점 & 초보자가 유의할 점. 1. 분산투자 ETF는 기본적으로 분산투자가 가능하므로 주식과 비교해 안정적입니다. ETF는 최소 10종목 이상의 주식이 묶여 있는 상품이기 때문에 ETF 상품 하나의 매수는 최소 주식 10개에 분산투자를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시장대표지수를 추종하는 ETF 중 TIGER 코스닥150의 구성 종목 중 PDF 상위 10개 종목을 보면 셀트리온헬스케어, 에이.. 2020. 12. 2.
ETF 투자 필수체크! - 순자산가치(NAV), 괴리율, 추종지수와의 오차 [ ETF에서 다루는 내용 ] 1. ETF 기본 개념 (ETF와 펀드의 차이점, 추종지수, 상품구성 방식, 상품명 구분) 2. ETF 종류 (주식, 섹터지수, 테마, 채권형, 해외지수, 부동산 등) 3. ETF 순자산가치(NAV)와 괴리율, 추적오차 (추종지수와의 오차율) 4. ETF와 주식 비교 5. ETF! 초보자에게 좋은 점 & 초보자가 유의할 점. 이번 포스팅에서는 NAV, 괴리율, 추적오차 등 ETF의 주요 용어를 정리하면서 ETF 상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보려고 합니다. [ 목차 ] 1. NAV (순자산가치) 2. 괴리율 3. 추적오차 (추종지수와의 오차율) 1. NAV (순 자산가치) NAV(Net Asset Value)는 순자산가치(기준가격)를 의미합니다. 순자산가치는 ETF가 보유하고 있.. 2020. 11. 30.
ETF 종류 (상품구분, 시장대표지수, 업종섹터, 채권형, 원자재, 파생상품 등) [ ETF에서 다루는 내용 ] 1. ETF 기본 개념 (ETF와 펀드의 차이점, 추종지수, 상품구성 방식, 상품명 구분) 2. ETF 종류 (상품구분, 시장대표지수, 업종섹터, 채권형, 원자재, 파생상품 등) 3. ETF 순자산가치(NAV), 괴리율, 추종지수와의 오차 4. ETF와 주식 비교 5. ETF! 초보자에게 좋은 점 & 초보자가 유의할 점. 오늘은 상품의 종류가 너무나도 다양한 ETF의 종류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을 위해 금융투자협회에서 국내에서 거래되고 있는 ETF가 몇 개나 되나 검색해보니 464개나 되더군요. (2020년 11월 19일 기준) ETF 상품을 구분하는 기준은 너무나 다양합니다. ETF 상품을 쉽게 검색해볼 수 있는 사이트가 금융투자협회에서 운영하는 ‘펀.. 2020. 11. 25.
ETF란? (ETF 종류, 펀드와의 차이점, 자산운용사별 ETF) [ ETF 정보에서 다루는 내용 ] 1. ETF 기본 개념 (ETF와 펀드의 차이점, 추종지수, 상품구성 방식, 상품명 구분) 2. ETF 종류 (상품구분, 시장대표지수, 업종섹터, 채권형, 원자재, 파생상품 등) 3. ETF 순자산가치(NAV), 괴리율과 추적오차 4. ETF와 주식 비교 5. ETF! 초보자에게 좋은 점 & 초보자가 유의할 점. 최근 0%대 초저금리로 인한 유동성 늘어나면서 주식시장으로 몰리는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0년 11월 금융투자협회 자본시장 주요동향 자료에 의하면 11월 17일 기준 증권사에 주식투자를 위해 대기 중인 투자자금이 63조 1,079억 원에 이릅니다. 이는 2019년 말 27조 3,933억 원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금액입니다. 또한, 일간.. 2020. 11. 24.
채권과 금리와의 관계 [ 목차 ] 1. 채권이란? 2. 금리란? 3. 금리와 채권과의 관계 1. 채권이란? 채권이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차용증서’입니다. 이 채권은 국가, 공공기관, 기업 등 다양한 기관에서 발급할 수 있습니다. 정부가 발행하면 국가채권, 지방자치단체가 발행하면 지방채권, 기업이 발행하면 기업채권이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채무자(채권을 발행한 자)는 정해진 기간 동안 큰 자금을 조달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채권자(채권을 소유한 자)는 소유 기간에 해당하는 이자를 받는 것은 물론이고 만기에 원금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렇게 채권자와 채무자 간 원하는 바를 얻을 수 있고, 상호 간의 위험을 감수할 수 있다는 판단하에 채권 발행이 성립될 수 있습니다. 채권이란? 채권의 기본.. 2020. 11. 22.
채권이란? 채권의 기본 개념 및 발행 주체 ▣ 채권이란? 채권(Bond)이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차용증서(증권)’입니다. 채권은 국가, 공공기관, 기업 등 다양한 기관에서 발급할 수 있습니다. 정부가 발행하면 국가채권, 지방자치단체가 발행하면 지방채권, 기업이 발행하면 기업채권이 되는 것입니다. 채권 발행을 통해 채무자(채권을 발행한 자)는 정해진 기간 동안 큰 자금을 조달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채권자(채권을 소유한 자)는 만기에 원금을 받는 것은 물론이고, 소유 기간에 해당하는 이자를 받음으로써 투자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채권자와 채무자 간 서로 원하는 바를 얻을 수 있고, 상호 간의 위험을 감수할 수 있다는 판단하에 채권 발행이 성립될 수 있습니다. ▣ 채권 발행 자격 채권의 발행 자격을 갖춘 기관은 법.. 2020. 11. 19.
법정최고금리 20%로 인하. (법정 최고 이자율) 현재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2020년 3월 17일 1.0% 아래인 0.75%로 내려간 이후 5월 28일부터 현재까지 0.5%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준금리로 인해 제1금융권에서의 대출은 2%~5% 내외에서 대출금리가 책정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와 무관하게 법정최고금리를 적용한 대출도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정부는 현재 법정최고금리인 24%를 내년 말부터 20%로 낮추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금리란? (한국은행 기준금리 | 통화정책) 금리(金利, Interest rate)란 돈의 가치를 말합니다. 즉, 돈을 타인 또는 타 기관에 빌려줌으로써 받는 이자가 금리로 결정되고 이자율이 돈의 가치를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이자 또는 이자율이 land2sky.tistory.com 1. 법정최고금리란? 법.. 2020. 11. 18.
반응형